2024 | 김용일 (서울대학교) |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Super-Resolution Using Image Degradation Model with MTF-Based Filter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9권 4호, pp. 395–407, 2023) |
---|---|---|
2023 | 한유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KOMPSAT-3·3A 위성영상 글로벌 융합활용을 위한다중센서 위성영상과의 정밀영상정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8권 6-4호, pp.1901-1910, 2022) |
2022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KOMPSAT-3/3A/5 영상으로부터 자연림과 인공림의 분류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7권 6-3호, pp.1965-1974, 2021) |
2021 | 박노욱 (인하대학교) | Potential of Bidirectional 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for Crop Classification with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Image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6권 4호, pp.515-525, 2020) |
2020 | 홍상훈 (부산대학교) | Parallel Computing on Intensity Offset Tracking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for Retrieval of Glacier Velocity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5권 1호, pp.29-37, 2019) |
2019 | 김진수 (부경대학교) | Accuracy Assessment of Global Land Cover Datasets in South Kore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4권 4호, pp.601-610, 2018) |
2018 | 최재완 (충북대학교) | ITPCA 기반의 무감독 변화탐지 기법을 이용한 산림황폐화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3권 6-3호, pp.1233-1242, 2017) |
2017 | 박상은 (세종대학교) | Kompsat-5 SAR 자료를 이용한 수체 탐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2권 5호, pp.539-550, 2016) |
2016 | 예철수 (극동대학교) | A de-noising method based on connectivity strength between two adjacent pixel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1권 1호, pp.21-28, 2015) |
2015 | 서명석 (공주대학교) | 한반도에서 발생하였던 집중호우 시 적외 및 수증기 영상의 특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0권 4호, pp.465-480, 2014) |
2014 | 이훈열 (강원대학교) | COSMO-SkyMed SAR 영상을 이용한 동남극 Campbell 빙하의 연간 면적변화 및 유속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9권 1호, pp.45-55, 2013) |
2013 | 이우균 (고려대학교) | Forest Canopy Density Estimation Using Airborne Hyperspectral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권 3호, pp.297-305, 2012) |
2012 | 한경수 (부경대학교) | Sub-class Clustering of Land Cover over Asia considering 9-year NDVI and Climate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7권 3호, pp.289-301, 2011) |
2010 | 이기원 (한성대학교) | Basic Elements and Implication of Software Metadata in the Intelligent Geospatial Web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권 6호, pp.559-569, 2009) |
2010 | 이상훈 (경원대학교) | Unsupervised Image Classification using Region-growing Segmentation based on CN-chain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권 3호, pp.215-225, 2004) |
2004 | 이규성 (인하대학교) | Assessment of post-flooding conditions of rice fields with multi-temporal satellite SAR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ume 24, 2003 - Issue 17, pp.3457-3465) |
2003 | 원중선 (연세대학교) |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ume 83, Issue 3, 2002, pp.442-456) |
1991 | 오성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ERBE와 AVHRR에 의하여 추정된 지구의 장파복사량 비교 (대한원격탐사학회지 6권 2호, pp.75-88, 1990) |
* 전전년부터 당해년도까지 대한원격탐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당해 발간된 SCI(E)급 학술지에 최다 인용한 연구자
2024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
---|---|
2023 | 이사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박노욱 (인하대학교) | |
양찬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2021 | 이선민 (한국환경연구원) |
2020 | 이창욱 (강원대학교) |
* 전년도 대한원격탐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우수논문 선정
2024 | 김태호 ((주)유에스티21) | 논문: GOCI-II 기반 괭생이모자반 모니터링 시스템 성능 평가: 황해 및 동중국해 해역 오탐지 제거 결과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9권 6-2호, pp.1615-1633, 2023) |
---|---|---|
2023 | 이수암 (㈜쓰리디랩스) | 무인항공기 영상을 위한 영상 매칭 기반 생성 포인트 클라우드의 후처리 방안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8권 6-1호, pp.1025-1034, 2022) |
2022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 Satellite-based Drought Forecasting: Research Trend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7권 4호, pp.815-831, 2021) |
2021 | 이양원 (부경대학교) | 국지예보모델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극상림 플럭스 관측의 공간연속면 확장 및 우리나라 산림의 일일 탄소흡수능 격자자료 산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6권 6-1호, pp.1449-1463, 2021) |
2020 | 이한림 (부경대학교) | Estimation of HCHO Column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ethod with OMI and MODIS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5권 4호, pp.503~516, 2019) |
2019 | 김현철 (극지연구소) | 극지해빙위성관측을 위한 분석기술개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4권 6-2호, pp.1283-1298, 2018) |
2018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환경영향평가의 사후관리 지원을 위한 환경공간정보 활용 방안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3권 5-3호, pp.799~807, 2017) |
2017 | 한경수 (부경대학교) | Retrieval of background surface reflectance with pre-running BRD component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2권 1호, pp.61~65, 2016) |
2016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 멀티간섭기법에 기반한 이온왜곡 보정기법의 보완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1권 2호, pp.101~110, 2015) |
2015 | 예철수 (극동대학교) | 영상등록을 위한 Mutual Information 기반의 원형 템플릿 정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0권 5호, pp.547-557, 2014) |
2014 | 홍상훈 (극지연구소) | 공간해상도에 따른 위성 영상레이더 위상간섭기법 긴밀도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9권 4호, pp.389-397, 2013) |
정명재 (강릉원주대학교) | 월면 디지털 영상 분석을 이용한 대기 광학두께 산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9권 5호, pp.555-568, 2013) |
|
2013 | 박경애 (서울대학교) | L밴드 인공위성 SAR를 이용한 동해 연안 해상풍 산출 및 오차 특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권 5호, pp.477-487, 2012) |
이상훈 (가천대학교) | Segment-based image classification of multisensor image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8권 6호, pp.611-622, 2012) |
|
2012 | 김광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초분광 영상의 endmember 자동 추출을 위한 수정된 Iterative N-FINDR 기법 개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7권 5호, pp.565-572, 2011) |
이기원 (한성대학교) | Applicability of Geo-spatial Processing Open Sources to Geographic Object-based Image Analysis (GEOBI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7권 3호, pp.379-388, 2011) |
|
2011 | 양찬수 (한국해양연구원) | Velocity Estimation of Moving Targets on the Sea Surface by Azimuth Differentials of Simulated-SAR Image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6권 3호, pp.297-304, 2010) |
2010 | 김덕진 (서울대학교) | Wind Retrieval from X-band SAR Image Using Numerical Ocean Scattering Model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권 3호, pp.243-253, 2009) |
홍기옥 (공주대학교) | Improvement of COMS Land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Algorithm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권 6호, pp.507-515, 2009) |
|
2009 | 오이석 (홍익대학교) | Radar Remote Sensing of Soil Moisture and Surface Roughness for Vegetated Surface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4권 5호, pp.427-436, 2008) |
박노욱 (인하대학교) | Geostatistical integration of different sources of elevation and its effect on landslide hazard mapping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4권 5호, pp.453-462, 2008) |
|
2008 | 이훈열 (강원대학교) | Estimation of Ocean Current Velocity near Incheon using Radarsat-1 SAR and HF-radar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3권 5호, pp.421-430, 2007) |
류희영 (서울대학교) | Application of the 3D Discrete Wavelet Transformation Scheme to Remotely Sensed Image Classification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3권 5호, pp.355-364, 2007) |
|
2007 | 김태정 (인하대학교) | GOES-9 영상의 정밀기하보정을 위한 여러 센서모델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2권 4호, pp.285 - 294, 2006) |
2006 | 김재환 (부산대학교) | GLI 자료를 이용한 생체 소각 에어러솔 측정에 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1권 4호, pp.273-285, 2005) |
* 전전년도 발간 논문 중 최다 인용된 논문
2024 | Aysha Hanif (Department of Geography, Lahore College for Women University, Pakistan) | 논문: Mapping and Analyzing the Park Cooling Intensity in 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 Effect in Lahore, Pakista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38 No. 1, pp.127-137, 2022) |
---|---|---|
성태준 (울산과학기술원) | 논문: 다종 위성자료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고해상도 표층 염분 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8권 5-2호, pp.747-763, 2022) |
|
김완엽 (성균관대학교) | 논문: Sentinel-1 SAR 영상의 수체 탐지 기법을 활용한 저수지 관측 기반 수문학적 가뭄 지수 평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8권 2호, pp.153-166, 2022) |
|
2023 | 박서희 (GESTAR II, MSU / NASA GSFC) | 부스팅 기반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지상 미세먼지 농도 산출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7권 2호, pp.321-335, 2021) |
김준 (고려대학교) | U-Net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다중시기 계절학적 토지피 복 분류 정확도 분석 -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7권 3호, pp.409-418, 2021) |
|
김광섭 (경민대학교) | Landsat-8 OLI 영상정보의 대기 및 지표반사도 산출을 위한 OTB Extension 구현과 RadCalNet RVUS 자료를 이용한 성과검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7권 3호, pp.449-461, 2021) |
|
유철희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 Spatial Downscaling of MODIS Land SurfaceTemperature:
Recent Research Trend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6권 4호, pp.609-626, 2020) |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 Spatial Downscaling of MODIS Land SurfaceTemperature:
Recent Research Trend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6권 4호, pp.609-626, 2020) |
|
Wahyu Luqmanul Hakim (강원대학교) | A Review on Remote Sensing and GIS Applications to
Monitor Natural Disasters in Indonesi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6권 6-1호, pp.1303-1322, 2020) |
|
2022 | 이성혁 (한국환경연구원) |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 분류 항목별 딥러닝 최적화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6권 6-2호, pp.591-1604, 2020) |
2021 | 이사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Current and Future Status of GIS-based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 Literature Review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5권 1호, pp.179~193, 2019) |
윤형진 (한국재난안전기술원) | 다시기 Sentinel-2A 영상을 활용한 산불피해 변화탐지 및 NBR 오분류 픽셀 탐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5권 6-2호, pp.1107~1115, 2019) |
|
백원경 (서울시립대학교) | A Review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using Multi-temporal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5권 5-1호, pp.737-750, 2019) |
|
2020 | Biswajeet Pradhan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 Data Mining-Aided Automatic Landslide Detection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in Densely Forested Tropical Areas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4 권 1호, pp.45-74, 2018) |
김상완 (세종대학교) | Kompsat-5 SAR와 AIS 자료 통합분석 기반 운영레벨 선박탐지 모니터링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4권 2-2호, pp.327-338, 2018) |
|
2019 | 황정인 (국토지리정보원) | An efficient ship detection method for KOMPSAT-5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ry based on adaptive filtering approach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3권 1호, pp.89-95, 2017) |
김휘영 (서울시립대학교) | 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한 기준영상 기반 스마트폰 영상의 기하보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3권 2호, pp.231-242, 2017) |
|
2018 | 나상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원격탐사 기반 맥류 작황 추정을 위한 최적 식생지수 선정 - UAV와 현장 측정자료를 활용하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2권 5호, pp.483-497, 2016) |
신동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사진측량용 UAV 시스템을 이용한 정사영상 제작 및 활용성 평가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2권 3호, pp.275-285, 2016) |
|
2017 | 이기원 (한성대학교) | 웹 처리 서비스(WPS) 표준의 위성영상 정보처리 시험 적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1권 3호, pp.245-253, 2015) |
이수암 (㈜쓰리디랩스) | UAV 영상을 활용한 수변구조물의 DSM 생성 및 정확도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1권 2호, pp183-191, 2015) |
* 당해년도 최다 심사를 수행한 심사자
2024 | 백원경(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이동호 (국토연구원) | |
안재성 (경일대학교) | |
2023 | 박상서 (울산과학기술원) |
정한철 (연세대학교) | |
2022 | 송아람 (경북대학교) |
조재일 (전남대학교) | |
2021 | 박소영 (부경대학교) |
박경원 (APEC 기후센터) | |
정한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2020 | 박숭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엄진아 (강원대학교) | |
2019 | 오관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유경 (경북대학교) | |
2018 | 안호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원진 (기상청) | |
2017 | 박욱 (연세대학교) |
이창석 (국가기상위성센터) |
* 전년도 원격탐사 관련분야 기술개발 성과가 탁월한 사업체
2024 | ㈜유에스티21 |
---|---|
2022 | ㈜SIA |
2021 | ㈜지오셋아이 |
2020 | 지오포커스 |
2019 | 삼우과학 |
2018 | ㈜쓰리디랩스 |
2017 | ㈜픽소니어 |
2016 | ㈜에스아이아이에스 |
2015 | ㈜아세아항측 |
2014 | ㈜인스페이스 |
2013 | ㈜에스이랩 |
2012 | 가이아쓰리디 |
2011 | ㈜젠이십일 |
한진정보통신㈜ | |
2010 | 지오씨엔아이 |
2009 | 비엔티솔루션 |
2008 | 한국공간정보통신 |
2007 | Satreci |
GEO C&I | |
2006 | 가이아쓰리디 |
* 학회의 발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
2024 | 김윤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2023 |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위성센터 |
2022 |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 |
2021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
2020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2019 | 윤정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2018 | 이상훈 (가천대학교) |
2017 | 김천 (국민대학교) |
2016 | 극지연구소 븍극해빙예측사업단 |
2015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정보활용센터 |
2014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2013 |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2012 | 안유환 (한국해양연구소) |
2011 | 서애숙 (국가기상위성센터) |
2010 | 김신엽 (환경부) |
2009 | 류근호(충북대학교) |
김용승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김광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2008 | 이상우 (SELAB) |
2007 |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2022 | 김윤수 박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2021 | 이승호 박사 (㈜네이버시스템) |
2020 | 조명희 국회의원 |
송석준 국회의원 | |
2018 | 도서출판 두솔 |
2017 | 환경부 정보화담당관실 |
2014 | 이규성 교수 (인하대학교) |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2022 | 강필종 박사 |
---|---|
이쾌희 교수 | |
김영섭 교수 | |
2014 | 박경윤 박사 |
봉종헌 박사 | |
백홍열 박사 | |
지광훈 박사 | |
김천 교수 | |
양영규 박사 |
2024 | WAHYU LUQMANUL HAKIM (강원대학교) | 대만 |
---|---|---|
박소연 (인하대학교) | 대만 | |
2019 | 이선민 (서울시립대학교) | 대만 |
박홍련 (충북대학교) | 대만 | |
2017 | 이화선 (인하대학교) | 일본 |
신성균 (강릉원주대학교) | 일본 | |
2015 | 박숭환(서울시립대학교) | 대만 |
이창석 (부경대학교) | 대만 | |
2013 | 장안진 (서울대학교) | 일본 |
한향선 (강원대학교) | 일본 | |
김태성 (서울대학교) | 대만 | |
2012 | 한유경 (서울대학교) | 일본 |
오재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일본 | |
2011 | 신형진 (건국대학교) | 일본 |
김선화 (인하대학교) | 대만 | |
최현아 (KEI) | 대만 | |
2010 | 한수희 (연세대학교) | 일본 |
박근애 (건국대학교) | 일본 | |
김태영 (KARI) | 대만 | |
오현미 (부산대학교) | 대만 | |
김용현 (KARI) | 대만 | |
2009 | 김이현 (국립농업과학원, 강원대학교) | 일본 |
최은영 (국립농업과학원) | 일본 | |
윤정숙 (SK C&C) | 대만 | |
최재영 (경원대학교) | 대만 | |
2008 | 곽두안 (고려대학교) | 일본 |
윤정숙 (인하대학교) | 일본 | |
장안진 (서울대학교) | 대만 | |
정찬규 (세트렉아이) | 대만 | |
2006 | 박노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일본 |
류희영 (서울대학교) | 일본 |
2020 | 공통-대상(환경부장관상) 함성원, 장시은, 김유빈, 오정효, 오주영, 이동훈 (인하공업전문대학) |
AWS 기반 실시간 인하공전 캠퍼스 환경소음지도 제작 |
---|---|---|
학생부-최우수상(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상) 이연수 (울산과학기술원) |
Local Climate Zone 분류체계와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열섬 강도 분석 | |
일반부-최우수상(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상) 김광섭 (한성대학교) |
절대 대기 보정에 의한 KOMPSAT-3A 영상 지표 반사도 적용 도시 환경 정밀 식생지수 산출도 구축 방안 | |
학생부-우수상(대한원격탐사학회장상) 김민호, 정도영, 최형우 (서울대학교) |
Multi-Scale CNN을 활용한 국토 Local Climate Zone 지도 분류 (서울특별시와 대구광역시 LCZ 지도의 환경빅데이터 구축을 중심으로) | |
학생부-우수상(대한원격탐사학회장상) 나수현, 이연지, 전수민, 정시은 (고려대학교) |
농촌지역 미세먼지 취약성 평가 및 취약 유형별 정책 제안 | |
일반부-우수상(대한원격탐사학회장상) 박강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대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정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수현 (㈜꿀비), 원지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생태 관리 인프라 구축을 위한 ISR지수의 제안과 Preston모형을 통한 검증 및 GIS를 통한 시각화 | |
일반부-우수상(대한원격탐사학회장상) 이임평, 함상우, 이희지 (서울시립대학교) |
국립공원 내 위반건축물 모니터링을 위한 딥러닝 기반 항공정사영상 변화탐지 | |
학생부-장려상(대한원격탐사학회상) 김태헌, 권희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
KOMPSAT-3A 위성영상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환경성평가지도 갱신 및 구축 | |
일반부-장려상(대한원격탐사학회상) 김영연, 김문정, 장영호, 류형렬, 오조교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
지리 공간정보를 이용한 라돈농도 예측시스템 구축 | |
일반부-장려상(대한원격탐사학회상) 정성학 (프리랜서) |
북한 산림황폐지 및 토지이용실태 변화분석 (2001년~2019년간 연도별 분석을 중심으로) | |
2017 | 학생부-최우수상(환경부장관상) 유철희 (울산과학기술원) |
기계학습 기반 상세화를 통한 위성 지표면온도와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열환경 분석: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학생부-우수상(환경부장관상) 곽근호, 박소연 (인하대학교) |
전이학습과 객체기반 분류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갱신 방안 연구 | |
학생부-우수상(환경부장관상) 송아람 (서울대학교) |
딥러닝 기반의 초분광영상 분류를 사용한 환경공간정보시스템 활용 | |
학생부-우수상(환경부장관상) 박녕희, 김동학, 안재윤 (충북대학교) |
토지피복지도 갱신을 위한 SsCVA 기반 무감독 변화탐지 | |
일반부-우수상(환경부장관상) 이수암, 김수현 (㈜쓰리디랩스) |
도심지역 수목 높이값 측정을 위한 무인항공기에서 취득된 스테레오 영상의 활용 가능성 고찰 | |
일반부-우수상(환경부장관상) 이윤경,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원격탐사기반 연안주제도 선진화 방안 연구 | |
학생부-장려상(대한원격탐사학회상) 이수정, 유소민, 함보영, 김문일, 김세진 (고려대학교) |
환경공간정보를 이용한 수도권의 수자원 공급과 기후완화 기능을 위한 도시림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 | |
학생부-장려상(대한원격탐사학회상) 박해경 (서울대학교) |
UAV와 3D 솔리드 모델링을 이용한 SfM-MVS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의 단일수목 정량화기법 연구 | |
일반부-장려상(대한원격탐사학회상) 이선민,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이용한 우면산 산사태 취약성도 제작 및 사후관리 현장조사 |
2023 | 최우수상 임태석, 유호영, 이승준, 윤아영 (세종대학교) |
SAR Tomography 기술을 활용한 도시 인프라 3D 공간 모델링 |
---|---|---|
우수상 이동현, 최현성, Ditha Anggraini Gandamana (서울대학교) |
Segment Anything Model과 오픈 소스 데이터를 활용한 AI 기반 건물 추출 알고리즘 개발 | |
장려상 정성규, 박혜빈, 이예진, 김승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딥러닝 기법을 사용한 KOMPSAT-2/3 위성 영상 기반의 야적퇴비 탐지 | |
장려상 구서영, 김기호, 김하름, 권견우 (중앙대학교) |
머신러닝을 이용한 아리랑위성 기반 산불 피해목 고사율 예측 모델 개발 | |
2022 | 최우수상 원유준, 김다희, 한상명 (강원대학교) |
KOMPSAT-3/3A 영상 기반 인구밀집지역 하천의 탁도 산출 기술 개발 |
우수상 김하늘, 김예진, 김수현, 오상하 (인하대학교) |
KOMPSAT-3를 활용한 도심지 수목 객체 추출 및 머신러닝 기반 수종 분류 | |
우수상 유호영, 백인탁, 이승준 (세종대학교) |
고해상도 X-Band SAR영상을 이용한 인공구조물 열팽창 모니터링 | |
장려상 김민주, 김진우, 박정우, 심민지 (동아대학교) |
아리랑 광학 위성영상 활용 부산 신항 간척사업지역 갯벌 면적 변화 및 탄소 흡수량 영향 분석 | |
장려상 황승현, 김범서 (중앙대학교) |
KOMPSAT-3A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평창 플럭스타워 지역의 증발산 산정 연구 | |
장려상 윤아영, 이가람, 전원준 (세종대학교), 김민수 (명지대학교) |
위성영상을 활용한 자원 활용 사고 이후의 변화관측 및 분석 | |
2021 | 최우수상 송수민, 김서현, 이시웅, 남수홍 (강원대학교) |
KOMPSAT-5 SAR 영상과 기계학습을 활용한 남극의 크레바스 탐지 연구 |
우수상 안영우, 전영호, 이상현 (세종대학교) |
아리랑 위성영상을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해양 스티로폼 쓰레기 탐지 | |
우수상 최현경, 송윤지 (인하대학교) |
KOMPSAT-3A 및 다종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연안 해역 괭생이모자반 탐지성능 비교 연구 |
Award Name: Choen Kim Award of the KSRS
Purpose: The award is to promote academic and social bonding among AARS Members and among young and elder remote sensing scientists. The person who has contributed mostly for
the friendship during previous ACRS events will be awarded.
Benefits: The awardee will receive a prize of $1,000, donated by Prof. Choen Kim, to cover the cost for attending the coming ACRS.
Requirement: The awardee should attend the coming ACRS event.
Duration of the award: The award starts from 2021 and will be carried out until 2030 (10 times).
Selection Process: AARS Members can nominate candidates for Choen Kim Award of the KSRS through AARS. The Award Selection Board, formed by Prof. Choen Kim and board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will evaluate candidates and decide the awardee.
2024 | Kiwon Lee (Professor, Hansung University, Korea) |
---|---|
Yuei-An Liou (Professor, National Central University, Taiwan) | |
Wataru Takeuchi (Professor, The University of Tokyo, Japan) | |
2023 | Gay Jane Perez ( Professor,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 Diliman Deputy Director General, Philippine Space Agency, Philippine) |
학회기여상 | 강필종 |
---|---|
봉종헌 | |
이쾌희 | |
양영규 | |
지광훈 | |
백홍열 | |
김천 | |
김영섭 (국립부경대학교) | |
이규성 (인하대학교) | |
원중선 (연세대학교) | |
김광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김용일 (서울대학교) | |
이우균 (고려대학교) | |
이훈열 (강원대학교) | |
특별기여상 | 조명희 (㈜지오씨엔아이) |
신동석 (㈜옵셋) | |
최다특별세션상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출판공로상 | 도서출판 두솔 |
최다부스상 | 삼우과학 |
㈜에스아이아이에스 | |
㈜에스이랩 | |
최다광고후원상 | ㈜지오셋아이 |
학생후원상 | ㈜가이아쓰리디 |
㈜지오씨엔아이 | |
㈜쎄트렉아이 | |
㈜픽소니어 | |
㈜한컴인스페이스 | |
㈜지오포커스 | |
최다논문게재상 | 예철수 (극동대학교) |
이기원 (한성대학교) | |
한경수 (국립부경대학교) |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 |
최다영문논문상 | 김승범 (JPL) |
유희영 (서울대학교) | |
양찬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박노욱 (인하대학교) | |
최다논문심사상 | 김진수 (국립부경대학교) |
최다피인용상 | 홍석영 (국립농업과학원) |
김현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특별호발간상 | 이광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